unity [Unity] TMP를 이용해 이모지 넣기 & 글자 클릭 기능 만들기 Text Mesh Pro에서는 기본 이모지 말고도 별도의 이모지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줍니다. 이모지를 추가해주기 위해서는 일단 이모지로 사용할 이미지를 multi sprite로 잘라줍니다. 이 다음엔 잘라낸 이미지 스프라이트를 이모지 파일로 변환하여 주어야하는데 이 기능도 TMP에서 제공해줍니다. 해당 이미지 파일을 우 클릭하고 Create -> TextMeshPro -> Sprite Asset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스프라이트 파일 폴더 안에 파란색 이모지 파일이 생성됩니다. 이제 생성한 이모지 파일을 사용하겠다고 설정을 해주어야합니다. Project Settings -> TextMeshPro -> Settings -> Default Sprite Asset에서 Default Sprite Ass.. [Unity] Garbage Collector 🎲 Garbage Collector란? C#에서 불필요한 메모리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기능을 Garbage Collection이라고 하고 이 기능을 관리해주는것이 바로 Garbage Collector입니다. Garbage Collector(이하 GC)는 힙 영역에 메모리를 할당받으려고 할 때 여분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작동됩니다. GC실행 후에도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프로그램이 강제종료됩니다. 🍳 메모리 구분 Stack메모리는 먼저 할당된 메모리가 나중에 할당해제되는 FILO(First In Last Out)으로 Garbage Memory가 생성될 일이 거의 없습니다. 문제는 Heap메모리인데 유니티에서 Heap메모리는 두가지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첫번째로 Native Heap은 C++로 구성된 유니티 .. [Unity] 코루틴(Coroutine)과 멀티 스레드(Multi Thread)의 차이점 코루틴과 멀티스레드 둘 다 비동기 작업을 위한 기능이란 점은 동일합니다. 다만, 내부적으로 작동하는 로직이 좀 다릅니다. 멀티 스레드 작동 방식 멀티 스레드의 하나의 프로세스 안에서 여러개의 스레드가 병렬로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하나의 작업에 하나의 스레드를 할당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코루틴에 비해서 무겁습니다. 코루틴 작동 방식 코루틴은 멀티 스레드와 다르게 하나의 스레드 안에서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다만 각각의 작업을 프레임단위 혹은 시간 단위로 나누어서 실행하기 때문에 마치 병렬 구조로 작동하듯이 실행됩니다. 스레드를 늘리지 않기 때문에 멀티스레드 보다 가볍고 코드도 간결합니다. 이전 1 다음